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도움되는이야기438

아이폰 포스터치 기능으로 무게측정하는 방법 아이폰 6S 에 추가된 포스터치 이 기능을 통해 무게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최근에 앱스토어에서 애플이 "디지털 스케일"앱을 막아버렸죠. 다행히 아직 무게측정하는 방법이 두가가 남아있습니다. 1 한가지 방법은 사파리로 웹사이트를 접속해서 무게를 재는 것이고 2. 또 하나는 게임을 이용하는건데, 사실 개인적으로 두번째 방법은 너무 시간이 걸리고 복잡하네요. 아이폰 포스터치로 무게측정하는 2가지 방법이었습니다. 2016. 2. 22.
내가 마시는 커피 카페인 함량은 얼마나? 우리나라 사람들이 좋아하는 커피(아메리카노)의 카페인 함량은 얼마나 될까? 각 커피 브랜드별로 들어가 있는 카페인 함량을 알아봤습니다. 파스쿠찌, 커피빈, 스타벅스, 할리스, 투썸플레이스, 카페베네는 투샷이 들어가지만 엔제리너스, 이디야, 탐앤탐스는 1잔이 들어가네요 각각 아메리카노 기본 사이즈 용량이 조금씩 다르긴하지만 파스쿠찌가 카페인 함량은 196으로 제일 높네요 의외로 스타벅스가 114로 낮은 카페인 함량을 보여주고 있네요 일반적으로 커피나 에너지드링크이 고 카페인이라 생각하기 쉬운데 우리가 일상에서 먹는 카페인 함량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캔커피의 경우 36~74mg 면 위 아메리카노와 비교해보았을때 에스프레소 1샷이 들어간 아메리카노보단 낮은 카페인이네요 자양강장제 에너지드링크의 경우 30.. 2016. 2. 18.
선거구획정 논란을 알기쉽게 보여주는 인포그래픽 대한민국을 전교생 5천만명이 다니는 학교라고 가정해봅니다 당신도 그 학교를 다니는 한 학생입니다 그런데 갑자기 학교에 중대한 일이 생겼습니다.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5천만명이나 되는 학생들을 모아놓고 이야기를 들으면 참 좋겠지만 현실적으로 그것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대신 학생들은 새로운 방법을 찾았습니다. 바로 반마다 자신들을 대표할 반장을 뽑는것입니다. 그 반장의 이름은 바로 '국회의원' 입니다. 그렇게 대한민국에는 5천만명을 대표하는 300명의 국회의원이 있습니다. 246명은 자신의 반이 있는 지역구 의원이고, 나머지 54명은 반에 상관없이 뽑힌 비례대표 의원 입니다. 4년마다 국민은 자신들의 반장 격인 국회의원을 새로 뽑습니다. 그리고 선거가 있기 1년전, 대한민국이라는 학교는 학생수와 지리적.. 2016. 2. 18.
던킨도너츠 아메리카노+글레이즈드 단돈천원 G9 수요일 이벤트 던킨도너츠 아메리카노 + 글레이즈드 단돈 천원에 구매할수 있는 딜이 떳습니다 75% 할인가에 유효기간도 5월 20일까지 던킨도너츠 아메리카노 + 글레이즈드 천원에 사러가기http://www.g9.co.kr/Display/VIP/Index/766989002 바디감이 풍부한 던킨 에스프레소 샷에 따뜻한 물을 섞어, 카카오의 플레이버와 깔끔한 에프터 테이스트를 즐길 수 있는 가장 베이직한 커피메뉴 도넛과 함께 할대 최고의 맛을 선사하는 던킨 아메리카노 더욱 촉촉하고 부드러워진 달콤한 정통 도넛 던킨 아메리카노와 함께하면 더욱 맛있는 던킨 글레이즈드 행사 제외 매장을 확인하시고 방문해주세요 2016. 2. 17.
사드뜻 과 레이더 전자파 위험 사드 THAAD 고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 사드 뜻 :)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로 미국이 추진하고 있는 미사일 방어체계의 핵심요소 중 하나 - 사드는 발사대 6기와 레이더 및 통제 및 통신장비 등으로 1개 포대가 구성되는데 이 가운데 사드의 핵심장비인 AN/TPY-2 X밴드 레이더 사드 레이더의 전자파의 위험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드 THAAD 주한미군 배치를 공론화하자, 레이더의 전자파 유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사드 배치에 대해서 찬성은 하지만 우리동네는 안된다며 전자파에 대한 걱정을 하고 있는것이죠 하지만? 사드 뿐 아니라 모든 레이더가 쏘는 전자파는 집중적으로 쏘일 경우 문제가 됩니다. 하지만 국방부는 사드 레이더 통제구역 바깥.. 2016. 2. 16.
북한 흙수저의 삶 , 북한의 생활모습 잔혹한 장군님의 테제. 평양, 원산, 개성 이런 데는 워낙 많이 알려지다보니 정작 북한 흙수저들이 어떻게 사는지는 잘 알려진 게 드문데, 실제로 북한도 공개하기를 꺼려하고 일부 종북 세력들도 이런 류의 사진을 못 마땅해 하기 때문에 한 번 올려본다. 우리도 여름철에는 다리 밑에서 피서를 위해 잠을 청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런 한가한 이유로 저러고 다리 아래에 누워 있는 게 아니라 그나마 흙이 좀 많을 때 임시로 살기 위해 다리 밑을 고르는 경우가 있어. 정상적으로 주택을 짓기 위한 목재나 시멘트 류는 전부 노동당이 쓸어가서 평양 등 대도시와 중국으로 넘어가고, 이런 혜택을 받지 못하는 북한 주민들은 "토피" 라고 해서 흙으로 벽돌처럼 만들어서 여기에 귀한 목재 등을 이어붙여 집을 짓는다. 진정한 흙수저,.. 2016. 2.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