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밌는이야기/킬링타임

근린주구 이론 주장했던 하워드, 페리

by XaXo 2018. 2. 18.
반응형

 근린주구 : 근린주구라는 용어는 1929년 C.A.Perry가 주거단지의 커뮤니티 조성을 위한 하나의 게획단위로 채용





Ebenezer Howard : 에버니저 하워드 


내일의 전원도시


( Harden cities of Tomorrow , 1898 )


중심의 400 헥타르의 시가지와 주변에 2,000 헥타르의 영구농지 


도시와 농촌의 결합, 도시가 규모 이상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


시가지에 32,000명으로 인구 제한


시청, 미술관, 병원 등을 중심부에 배치


동심원상으로 상업지, 주택지, 공원지 등을 배치하여 자족성을 유지


공공 단체의 의한 토지의 위탁 관리로 토지 사유의 제한 ( 토지의 공유 )


개발이익의 사회 환원



.



C. A. Perry 페리


최초로 근린의 정의를 설정하여 근린주구 이론을 주장


하나의 주택지 개발은 하나의 초등학교가 필요하게 되는 인구에 대응하는 규모


통과 교통이 내부를 관통하지 않고 용이하게 우회할 수 있는 충분한 넓이와 간선도로에 의해 구획되어야 한다.


주민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1~2개소 이상의 상업지구가 주거지내에 설치되어야 한다.


교통의 결절점이나 인접 근린주구내의 유사 지구 부근에 설치되어야 한다.



.



Herny Wright 헨리 라이트 &


스타인 C. S. Stein


뉴저지의 레드번 Radburn 계획


보행자와 자동차 교통의 분리 (보차분리)


슈퍼 블럭 단위로 계획 (12~20 Ha)


주택과 가구안의 시설, 학교, 공원 등도 보도에 의해 연결됨


콜드삭 Cul-de-sac (막다른도로) 차량의 서비스 도로 역할


건축물 양쪽 측면에 충분한 공지의 확보


부엌 등 서비스 관계의 방은 콜드삭쪽에 배치


거실, 침실등은 중앙의 뜰, 공원에 면하도록 배치



.


G. Feder 페더


새로운 도시 Die Neue Stadt


단계적 일상생활권 개념의 확립


인구 20,000명을 갖는 자급 자족적인 소도시 

반응형